디지털한국평생교육원 미디어센터

「영덕 괴시마을」국가민속문화재 지정
경북 동해안 지역의 대표 반촌마을로 한옥 등 전통 생활양식 보존
페이스북 트위터 구글플러스 블로그 카카오스토리
디지털한국평생교육원 | 편집제작부

입력 2021-06-21 오후 4:37:29 | 수정 2022-06-12 오후 10:54:40
조회 499
글자크기 +
글자크기 -

「영덕 괴시마을」국가민속문화재 지정


- 경북 동해안 지역의 대표 반촌마을로 한옥 등 전통 생활양식 보존 -


문화재청(청장 김현모)은 경상북도 영덕군 영해면에 있는 영덕 괴시마을(盈德 槐市마을)을 국가민속문화재로 지정했다.



사진설명: 영덕 괴시마을 원경, 문화재청


영덕 괴시마을은 고려말 대학자인 목은 이색(1328~1396)이 태어난 마을로, 함창김씨(목은선생의 외가)가 처음 터를 잡은 이후 조선 인조대(1630년 무렵) 영양남씨가 정착하면서 남씨 집성촌이 되었으며, 경북 북부 해안지방에서 현재까지 단일 문중의 역사와 문화가 전승·유지되고 있는 대표적인 반촌마을이다.


마을의 원래 명칭은 근처에 늪이 많고 연못이 있어 호지촌(濠池村)으로 불렸으나, 목은 이색이 자기가 태어난 마을이 중국 원나라 학자 구양박사(歐陽博士)의 마을인 ‘괴시(槐市)’와 비슷하다고 하여 마을 이름을 ‘괴시’라고 고쳐 불렀다고 한다.{(출처: 가정목은양선생유허비(稼亭牧隱兩先生遺墟碑)1796년 영해부사 황은이 목은 이색(李穡, 1328~1396)과 그의 부친인 가정이곡(李穀, 1298~1351)을 기리기 위해 세운 유허비}



사진설명: 영덕 괴시마을 근경, 문화재청


마을은 ‘入(입)’자형으로 뻗어 내린 산자락을 배후로 하여 마을 전면으로 넓게 펼쳐진 영해평야를 바라보고 있으며, 송천(松川)이 평야를 동서로 관통하는 등 전형적인 배산임수의 형국을 갖추고 있다.


마을 내에는 경상북도 민속문화재 4호, 문화재자료 12호를 비롯하여 약 40여 호의 전통가옥과 전통적인 마을 경관이 잘 보존되어 있다. 마을 내 가옥 대부분은 안동지역 상류주택에서 볼 수 있는 뜰집(안채, 사랑채, 부속채 등이 하나로 연결되어 ‘ㅁ’자형을 이루는 주택)에 사랑채가 돌출된 날개집 형태를 취하고 있고, 지형의 영향으로 가옥의 배치가 전체적으로 서향인 점이 특징이다.

또한, 영덕지방 ‘ㅁ’자형 가옥에서 많이 나타나는 통래퇴칸(통상 상방(주인이 거처하는 방) 전면에 설치된 통로기능 공간으로 제사 시 제물을 나르는 등의 용도로 이용)을 괴시마을 내 ‘ㅁ’자형 가옥에서도 그 존재와 흔적을 살필 수 있다.



사진설명: 영덕 괴시마을 괴정 문화재자료, 마을정자, 문화재청


특히, 뜰집의 경우 전국의 약 70%가 경상북도 북부지역에 분포해 있어 이 지역의 건축적 특징이라고 볼 수 있는데, 괴시마을의 뜰집은 영양남씨에 의해 17세기에 유입되어 학맥과 통혼, 분가에 의해 마을의 주류를 이루게 되었다. 한편, 뜰집의 형식성을 탈피하여 실용성에 초점을 둔 양통집(겹집의 일종으로 한 용마루 아래에 앞뒤로 방을 꾸민 집)으로 변화한 가옥들도 마을에 공존하고 있다.


괴시마을의 뜰집은 안동을 거쳐 태백산맥을 넘어 조선 후기 영덕에 이르기까지 건축문화의 전파와 인적 교류 등 인문적 요인에 의한 건축의 영향관계를 살필 수 있는 귀중한 유산이다. 또한, 조선 후기 주택 건축의 변화와 다양성을 보여준점에서 매우 중요한 역사·학술적 가치를 지니고 있다.


문화재청은 이번에 국가민속문화재로 지정된 영덕 괴시마을을 체계적으로 보존하고, 역사문화 관광자원으로 활용될 수 있도록 해당 지방자치단체, 소유자 등과 협력해 나갈 계획이다.



FCN FM교육방송 부설 디지털한국평생교육원 편집제작부



편집제작부  fmebsnews@fmebs.com

<저작권자 © 디지털한국평생교육원,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영덕 괴시마을」국가민속문화재 지정
「영덕 괴시마을」국가민속문화재 지정
더보기